TOP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과소식

 
김태영 2025-02-11 119

[광음향 내시경 기술로 ‘SPIE Photonics West 2025’ Best Paper Award 받아] [기존 의료 내시경 한계 극복한 새로운 영상 기술 개발…국제적 우수성 입증]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대 광학·광전자학회 ‘SPIE Photonics West 2025’에서 최우수논문상(Tomowave 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김철홍 교수 연구팀(김재우 박사, 허다솜 박사)은 연세대 세브란스 김희만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한 ‘광음향 및 초음파 융합 내시경(Endoscopic ultras...

김태영 2025-02-11 93

[POSTECH · 美 잭슨랩, 위암 환자 약물 반응성 평가 및 예측하는 체외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미국 잭슨랩 유전체의학연구소(The Jackson Laboratory for Genomic Medicine) 찰스 리(Charles Lee)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암 환자의 약물 반응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3D 위암 모델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환자 조직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각 환자에 따른 약물 반응을 평가하고, 예측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최근 게재됐다. 암 치료의 가장 큰...

김태영 2025-02-05 153

[POSTECH 노준석 교수팀, 극자외선부터 마이크로파까지 전 파장에 적용가능한 다차원 샘플링 이론 발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석우 씨, 김주훈 씨, 김경태 씨, 정민수 씨 연구팀이 평면 광학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설계 방법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기존 메타표면 기술에서 사용되던 샘플링 이론의 한계를 규명하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차원 샘플링 이론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평면 광학 기술은 얇은 평면에 나노/마이크로 수준의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빛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

김태영 2025-01-24 277

[POSTECH 2024 동계 이공계학과대탐험 학과 특강] 이공계학과대탐험은 포스텍이 매년 여름/겨울방학에 전국의 우수 고교생들을 초청해 운영하는 행사다. 이공계 진로를 꿈꾸는 수학 과학 공학 영재들이 흥미롭고 수준높은 강의 실험 실습 등을 직접 체험하고 최첨단 연구 분야에 대한 시야를 넓히면서, 적성과 소질에 맞는 학과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 하에 진행되고 있다.  이번 이공계학과대탐험 행사 프로그램 중 기계공학과 김진태교수의 특강 자리를 마련하여, 항공/우주분야(유체) 에 대한 학부생과의 경험담/ 실제 로켓을 발사했던 내용등을 공유하며, 미래 과학계를 이끌어갈 학생들에게 뜻깊은 자리가 마련되었다.   

김태영 2025-01-24 162

[POSTECH·서울대병원,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신경염증 질환 연구 새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과·생명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팀, 서울대병원 신경외과학교실 백선하 교수 연구팀이 ‘인간 뇌혈관 장벽(이하 Blood-Brain Barrier, 이하 BBB)’을 정교하게 모사한 3D 모델을 실험실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바이오머티리얼즈 리서치(Biomaterials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 ‘신경퇴행성 질환’은 노화로 인하여 뇌와 신경계의 기능이 점차 약화되는 질환으로,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근위축...

김태영 2025-01-20 189

[재생의료·생체재료 분야 연구 국제 학계 인정받아… 美 하버드의대 Wei Tao 교수와 나란히 선정]   [Prof. Jinah Jang]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재생의료 및 생체재료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의 ‘젊은 연구자상(Biomaterials Award for Young Investigator) 2025’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국내 연구진으로는 첫 사례로 장 교수가 국제 학계에서 재생의료 및 생체재료 연구 역량을 입증한 쾌거로 평가받고...

김태영 2025-01-20 173

[POSTECH,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로 새로운 전환점 제시]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통합과정 이동규 씨, 물리학과 · 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박사과정 유재민 씨 연구팀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청정 수소 생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을 개발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회지 A(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의 내부 표지 논문(Inside front cover)으로 게재됐다.   전 세계적으로 화석 연료를 대체할 청정 에너지 기술 개발이 절실한 가운데 탄소 배출이 없는 ‘청정 수소’가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주목...

김태영 2025-01-20 97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연구팀은 기존 영상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포를 안정적이고 더욱 정밀하게 영상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김태영 2025-01-20 144

[노준석 교수팀, 우주에서 의료까지 초경량·초강도 소재의 새로운 가능성 열어]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 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정훈 · 노재범, 인공지능대학원 통합과정 신제현 씨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3D 기계적 메타물질*1 설계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지난 9일 오프라인 게재됐다. 카이랄(chiral)*2 기계적 메타물질은 비대칭 구조를 가진 인공 물질로 기존 소재가 가진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

김태영 2025-01-13 165

[ POSTECH, 국소적 pH조절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재생형 붕소 제거 흡착제 개발] 기계공학과 임근배 교수, 박사과정 최운재 씨, 이민수 박사 연구팀은 나노채널 기반의 국소 pH 조절 기술을 이용해 혁신적인 붕소 제거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과학 · 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유해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붕소는 농업과 산업, 반도체 제조 등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인 원소로 사용된다. 그러나 과도한 붕소가 물에 포함될 경우 인체와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음용수 내 붕소 허용치를 2.4mg/L로 규정했으며, 한국과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이...

김태영 2025-01-03 310

[창의와 열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한 청년 100인 선정]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홍윤씨가 지난 20일 ‘2024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인재상’은 국가의 이름이 달린 유일한 인재상으로 창의와 열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와 성취를 이루고, 사회의 귀감이 된 인재를 선정해 포상하는 제도다. 김홍윤 씨(지도교수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는 나노구조기반 메타표면을 활용한 초분광이미징 칩 플랫폼, 초고속 광 PCR칩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나노포토닉스 관련 연구로 SCI급 논문 12편에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

김태영 2024-12-23 317

[ POSTECH 기계공학과 학부생 박건태 포스테키안상 수상] 2024년 12월 2일 개최된 POSTECH 개교기념행사에서 기계과 박건태 학생이 포스테키안상을 수상하였다. 박건태 학생은 창의적 사고와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 해결에 노력해왔으며, 특히 해양쓰레기인 폐어구 수거를 위한 혁신적 방법 제시로 환경 문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는 모범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대학의 위상을 드높이는데 기여하여 2024학년도 자랑스러운 포스테키안상을 학생대표로 수상하였다.

김태영 2024-12-17 188

[POSTECH·세브란스 연세암병원,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기반 고성능 광음향 내시경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김형함 교수, IT융합공학과 김재우 박사,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허다솜 씨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김희만 교수와의 연구를 통해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광음향 내시경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최근 게제됐다. 내시경 초음파는 소화기내과에서 암 진단에 널리 활용되는데, 연조직의 대조도가 낮...

김태영 2024-12-16 255

[POSTECH·美UC Merced·중앙대, 반도체 공정 기술로 전지 효율과 내구성 높일 소재 개발]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김형준 박사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머세드캠퍼스(UC Merced) 기계공학과 이민환 교수팀, 중앙대 융합공학부 박해선 교수팀과 협력하여 최신 반도체 공정인 원자층 공정을 활용, 수소 생산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고온에서 안정한 연료극 촉매 소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및 환경공학 국제 학술지인 ‘응용 촉매 B: 환경과 에너지(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 and Energ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청정 에너지 수소(H2)는 연소 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환경에 무해하고, 전력...

김태영 2024-11-29 364

[이상준 교수팀, 실리콘 기반 지속 가능한 방오 · 방빙 · 저마찰 표면 기술 개발] 최근 기계공학과 이상준 교수, 통합과정 박규도 씨 연구팀은 실리콘 기반의 새로운 표면 코팅 기술을 개발해 해양 생물 부착 및 결빙 방지, 마찰 감소 성능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코팅 과학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인 ‘응용 표면 과학(Applied Surface Science)’와 ‘유기 코팅의 발전(Progress in Organic Coatings)’에 게재됐다. 선박에 부착된 따개비나 조류와 같은 해양 생물은 선박의 표면 마찰을 증가시켜 연료 소비를 최대 40%까지 늘리고, 그로 인해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