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 실시간 모니터링·자가조절 가능한 차세대 인공장기 플랫폼 리뷰 논문 게재]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생명과학과 장진아 교수, 미래IT융합연구원 용의중 박사,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지환 씨 연구팀이 ‘전자기술’과 ‘인공조직’을 결합한 ‘바이오하이브리드-공학조직(Biohybrid-Engineered Tissue, 이하 BHET) 플랫폼*1 ’에 대한 리뷰 논문을 국제 생명공학 저널인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Trends in Biotechnology)’에 발표했다. ...
소식 및 행사
-
김태영 2025-07-21 61
[POSTECH·KIST·한양대·아바코, 차세대 고온형 연료전지 핵심기술 개발로 박막 SOFC 제조 속도 20배·성능 89% 향상] 최근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연구팀이 수소에서 전기로의 고효율 변환이 가능한 박막형 연료전지의 제조 속도를 기존보다 약 20배 빠르게 하면서도 성능 또한 89%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수소 경제 핵심 인프라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이하 SOFC*1 )’ 상용화를 크게 앞당길 것으로 기대되며,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25년 8월호 후면 표지 ...
-
김태영 2025-07-15 89
[POSTECH, 반도체 공정으로 고체 산화물 수전해 전지(SOEC) 성능·내구성 다 잡았다 ] 수소를 깨끗하게 만드는 기술에도 ‘튼튼한 뼈대’가 필요하다. 안지환 교수 연구팀이 최근 반도체 공정으로 강력한 접착제와 같은 나노막을 개발해 수소 생산 장치의 성능과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을 기점으로 석탄, 석유, 천연가스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며, 그 근거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꼽았다. 그러나 태양광·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는 날씨와 시간에 따라 생산량이 들쭉날쭉해, 남는 전기를 저장하거나 다른 형태로 바꿔 둘 필요...
-
김태영 2025-07-08 122
[POSTECH, 붙일 땐 ‘꾹’, 뗄 땐 ‘톡’, 자유자재 접착 기술 개발] 기계공학과 김석 교수 연구팀이 기계공학과 김기훈 교수, 가천대 기계공학과 김남중 교수, 전북대 신소재 공학부 이한얼 교수, 미국 코네티컷대(University of Connecticut) 손창희 박사와 함께 머리카락보다 작은 전자부품부터 일상용품까지 손쉽게 붙였다가 떼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접착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학계의 주목을 받으며 최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인 ‘마이크로 LED’는 기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