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일정

김태영 2025-08-12 32

[POSTECH, 가시광 전 영역에서 작동하는 산업 호환형 고효율 메타표면 개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성준화·전영선 씨, 박사 양영환(現 국립창원대 조교수) 연구팀이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연구팀과 함께 눈에 보이는 모든 색의 빛을 자유롭게 다루면서 기존 반도체 공정과도 잘 맞는 초정밀 ‘빛 조종기술’이 개발됐다. 이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머터리얼즈 투데이(Materials Today)’에 최근 게재됐다.  메타표면은 일반 렌즈와 달리 아주 얇은 두께로도 빛의 위상과 편광, 진폭...

김태영 2025-08-12 19

[POSTECH, 복잡한 3D 구조 없이 나노 평면 위에서 빛의 방향성 조절하는 광학 기술 개발]      최근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연구팀이 빛의 방향성을 좌우로 구분해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광학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나노미터(nm) 두께의 평면 구조만으로도 가능해 차세대 디스플레이부터 의료 진단 센서 등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 화면이나 3D 영화관 안경에는 모두 '편광'이라는 빛의 특별한 특성이 숨어있다. ‘편광’이란 빛이 진동하는 방향을 말하는데, 그중 '원편광'은 나사처럼 시계방향이...

김태영 2025-07-28 85

[POSTECH, AI 활용한 세포의 실시간 3D 형상 및 동적거동 분석기법 개발]    최근 기계공학과 이상준 교수, 통합과정 김지환 씨 연구팀이 한 장의 사진만으로도 세포의 입체적인 모습과 움직임을 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앞으로 혈액질환 검사나 미세먼지 분석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몸속 세포들은 물속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처럼 끊임없이 움직이고 모양을 바꾸며 살아간다. 그런데 이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세포를 정확히 관찰하는 것은 과학자들에게 숙원(宿願) 과제였다. 질병 진단이나 치료법 개발을 위해서는 세포의 구조와 움직임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지만 기존 방법으로는 여러 각도에서 여러 번 사...

김태영 2025-07-28 69

[POSTECH·전북대, 단일 시스템에서 상·하향 주파수 변환 동시 구현…세계 최초 실험 입증]     국내 연구진이 마치 두 개의 얼굴을 가진 로마의 신 '야누스'처럼, 소리가 어느 방향에서 오느냐에 따라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독특한 파동 현상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의료용 초음파 장비부터 소음 차단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장영태 씨, 박사과정 오범석 씨, 전북대 기계시스템공학부 김은호 교수 연구팀이 단일 시스템 내에서 파동 방향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