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미국 NEU 공동연구팀, 광(光) 손실 메타 격자를 활용한 빛 전송 성공] ‘빛’은 아주 민감하고 취약하다. 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이 표면에서 흡수되거나 튕겨져 나올 수 있고, 열에너지 등 다른 에너지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 빛이 금속 표면에 도달하면 금속 내부의 전자에게 에너지를 빼앗기는데, 이러한 모든 현상을 ‘광(光) 손실’이라고 한다. 빛을 이용하는 광학소자는 크기가 작아질수록 광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초소형 광학소자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런데, 최근 이 광 손실을 오히려 역으로 이용하는 ‘비(非)허미션(Hermitian)’ 이론이 광학 연구에 적용되고 있다. 광 손실을 불완전한 요소...
소식 및 행사
-
김태영 2023-04-27 100
[노준석 교수팀, 반도체 공정 이용하여 지름 1cm 메타렌즈 대량 생산 성공] 휴대폰의 ‘카툭튀’를 없애거나 만화 드래곤볼에 나오는 ‘스카우터’와 같은 가상현실 기기를 만들 수 있는 광학소자가 있을까? 2019년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 선정한 10대 미래 기술 중 하나인 ‘메타렌즈’가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메타렌즈는 나노구조체의 배열로 이루어진, 매우 얇고 가벼운 평면 광학 소자로 최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에 특집호로 구성될 만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메타렌즈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기술이 필요하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이 커 상용화에 어려...
-
김태영 2023-04-11 81
[POSTECH·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공동연구팀, 당뇨 치료제 및 합병증 연구를 위한 다중 장기 칩 개발] 당뇨는 말 그대로 ‘소변에 포도당이 많이 배출되는 질환’으로 췌장에서 분비되는 혈당 조절 호르몬 ‘인슐린’의 이상으로 발생한다. 당뇨는 그 자체로도 위험하지만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더 무서운 질병이다. 당뇨는 크게 1형 당뇨와 2형 당뇨로 나눌 수 있다. 1형 당뇨는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에 이상이 생겨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상태이며, 2형 당뇨는 식습관, 운동 부족 등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해 인슐린의 분비가 감소하는 상태이다. 대한당뇨병연합에 의하면 2021년 기준 국내 당뇨병 인구는 약 470만 명이며, 이 중 9...
-
김태영 2023-04-04 293
기계공학과에서는 이번 2023년 새학기를 맞이하여 교수님과 학부생 그리고 기계공학과 전공을 희망하는 무은재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폭.짜 (폭풍의 언덕 짜장면) 행사를 진행하였다. 참석교수님은 유동현주임교수님, 정완균교수님, 황운봉교수님, 임근배교수님, 김기현교수님, 이승철교수님, 이안나교수님, 안지환교 수님, 김상국교수님 총9분이 참석해주셨고, 학부생은 36명이 자리를 함께 해주었다. 비대면 학기가 끝나고 대면으로 전환되어 교수님과 학부생들이 점심식사를 통해 진로와 고민상담 등 다양한 이야기 꽃이 피었다. 학과 전통행사인 폭.짜에 참석하지 못한 학부생들의 아쉬움을 뒤로 하고 행사는 마무리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