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일정

김태영 2025-06-23 62

[노준석 교수팀, 전기와 빛으로 위상 정보 이중 제어하는 메타표면 기술 구현]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머리카락보다 수천 배 얇은 메타표면을 이용해 손전지 하나 정도의 아주 작은 전기만으로 정보를 완벽하게 숨기고 꺼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재료과학과 응용 물리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지난 3일 게재됐다.  메타표면(metasurfaces)은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특별한 성질을 가진 인공 소재다.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수준의 극미세 구조를 정밀하게 배열해 만들어지며, 빛의 방향과 세기, 위상(파동의 단계)을 마음대로 조절...

김태영 2025-06-23 43

[POSTECH 연구팀, 3D프린팅으로 만든 뇌 모델로 신경 신호 흐름과 퇴행 반응 재현]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기계공학과 · IT융합공학과 · 생명과학과 · 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배미현 박사, 김정주 박사 연구팀이 실제 사람의 뇌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3D 뇌 모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제조 및 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Extreme Manufacturing’에 게재됐다.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뇌 질환은 한 번 발병하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예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뇌는 인체에서 가장 복잡한 장기이자, 가...

김태영 2025-06-18 90

[물리기반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세포의 실시간 3D 형상 및 동적거동 분석기법 개발]   다양한 미세유체 환경에서 회전하고 변형하는 세포의 동적거동 특성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3D 형상과 위치의 시공간적 변화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3D 영상기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각도 스캔(angular scanning)이 필수적인 기존 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세포의 3D 형상을 분석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최근 기계공학과 이상준 교수, 통합과정 김지환 씨 연구팀은 디지털 홀로그래픽 현미경(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 DHM)으로 촬영한 1장의 홀로그램 영상으로부터 세포의 3D 형상, 위치, 굴절률 정보 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

김태영 2025-05-29 292

[세계 최고 권위의 로봇 학회 ICRA 2025 의료부분 Best Paper Award 수상]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김기훈 교수팀이 세계 최대 규모의 로봇 학회인 ‘ICRA 2025(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에서 의료로봇 부문 최우수논문상(Best Paper Award)를 수상했다.      ICRA는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로봇자동화학회(RAS)가 주최하는 로봇공학 학술대회로, 매년 전 세계 로봇공학 연구자들이 최신 연구 동향과 성과를 발표하는 권위 있는 학회다. 시상식은 미국 현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