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과소식

 
김태영 2025-11-17 38

[POSTECH·아주대·연세대, 장기간 피부 건강 정밀 측정하는 ‘호흡하는 피부 분석기(BSA)’ 개발]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주는 첫 번째 방패다. 그동안 미세먼지, 온도 변화, 습도 등 요인이 피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장기간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웠는데, 최근 국내 연구팀이 이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했다.   기계공학과 강대식 교수 연구팀이 아주대 기계공학과 한승용, 고제성 교수 연구팀, 연세대 홍인식 박사와 함께 피부 건강을 오랫동안 정확하게 측정할 ‘숨 쉬는 피부 분석기(Breathable Skin Analyzer, BSA)’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피부 건강...

김태영 2025-11-17 15

[노준석 교수팀, '단일층 메타렌즈 180도 초광각 시야' 구현]  세상을 더 넓고 선명하게 담기 위한 과학자들의 도전이 또 한 걸음을 내디뎠다. 최근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화학공학과 통합과정 이은지 씨 연구팀은 180도에 가까운 초광각 시야를 구현하면서도 기존 카메라 시스템과 결합할 수 있는 단일층 메타렌즈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초소형 카메라의 핵심 부품을 한층 더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되며, 광학 및 포토닉스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Laser & Photonics Reviews’에 게재됐다.  스마트폰, 드론, 자율주행차 등에서...

김태영 2025-11-04 121

[POSTECH·기계연, 암모니아와 아산화질소로 탄소 없는 우주추진체 개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025년에 네 번째 발사를 앞두고 있다. 그런데 누리호를 비롯한 대부분 로켓은 탄화수소계 연료를 사용해 그을음과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는 점에서 환경적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이안나 교수, 박사과정 이정락 씨 연구팀이 한국기계연구원(KIMM, 이하 기계연) 강홍재 선임 연구원과 함께 ‘탄소 배출 제로’ 암모니아 추진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 로켓 연료의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해, 우주 추진 기술의 친환경 전...

김태영 2025-10-31 114

[2025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보건의료 부분 미래인재상 수상]    사)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여성과총)는 한국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미래사 촉망되는 젊은 여성과학 기술인을 발굴하고, 격려하고자 2010년부터 '미래인재상'을 제정하여 지금까지 총 138명의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2025년 제 16회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인재상' 수상자를 선정되었으며, 포스텍 기계공학과 강다윤 연구조교수 (지도교수 장진아 교수) 는 보건.의료 부분에서 수상자로 선정되는 기쁨을 누렸다.  시상식은 오는 11월 21일(금), 2025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연차대회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nb...

김태영 2025-10-31 58

[POSTECH·은평성모병원·한국외대 연구팀, 3D 프린팅으로 망막정맥폐쇄 체외에서 재현]   [조동우 교수]   기계공학과 조동우 특임교수 연구팀, 은평성모병원 안과 원재연 교수 연구팀, 한국외대 생명공학과 김정주(前 POSTECH 기계공학과 박사) 교수 연구팀이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망막-온-어-칩(retina-on-a-chip)’ 제작과 이를 기반으로 망막정맥폐쇄 질환을 체외에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소재, 나노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어드밴스드 컴포짓 앤드 하이브리드 머티리얼즈(Advanced Composites and Hybrid Materials)'에 게재됐다....

김태영 2025-10-31 66

[POSTECH,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혈당 예측+저혈당 감지’ DA-CMTL 모델 개발]                                                                   하루에도 여러 번 손가락을 찔러 혈당을 확인하고 인슐린을 주사해야 하는 당뇨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POSTECH 연구진이 혈당 변화를 예측하고 위험한 저혈...

김태영 2025-10-24 129

[기계공학과 장진아 교수 무은재 석좌교수 추대] 김성근 총장은 10월 21일(화) 대학본관에서 열린 무은재석좌교수 추대식에 참석하여, 무은재석좌교수로 추대된 장지원 교수(생명), 장진아 교수(기계), 최동구 교수(산경), 강석형 교수(전자)에게 추대장을 수여하며 축하 인사를 전하였다.  이번 무은재석좌교수 추대식 행사에 기계공학과 김동성, 박형규, 신동일, 신원동교수, 행정팀 직원, 랩원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김태영 2025-10-17 97

[POSTECH, 빛의 파장과 편광 동시에 분석하는 초소형 분광기 세계 최초 개발]     최근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유진 씨 연구팀이 기존 분광기보다 훨씬 더 작으면서도 빛의 색(파장)과 회전 방향(편광)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메타렌즈형 초소형 분광기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현지 시각으로 지난 1일 게재됐다.  빛 속에는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분광기는 이 빛을 분석해 물질의 성분이나 상태를 알아내는 도구다....

김태영 2025-10-17 76

[이상준 교수 연구팀, ‘태양열+전기열’로 해수 담수화 속도 크게 높여]   [ 이상준 교수]   기계공학과 이상준 교수, 미래기계기술 프론티어 리더 양성 교육연구단 히긴스 윌슨(Higgins Wilson) 박사 연구팀이 낮과 밤, 날씨에 상관없이 바닷물을 더 빠르게 식수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전 세계적 ‘물 부족’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며 최근 '커뮤니케이션즈 엔지니어링(Communications Engineering)'에 게재됐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표면의 70%가 바다지만, 마실 수 있는 담수는 전체의 2.5%에 불과하다. 이...

김태영 2025-10-17 236

[통기성 웨어러블 기기 '호흡하는 피부 분석기 개발]     포항공대 연구진이 환경 요인이 피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혁신적인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만성 피부질환의 진단과 관리뿐 아니라, 미세먼지 등 환경 오염 물질이 개인의 피부 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새로운 돌파구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강대식 교수(기계공학과) 공동 연구팀은 피부 장벽 기능을 장기간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통기성 웨어러블 기기 ‘호흡하는 피부 분석기(Breathable Skin Analyzer, BSA)’를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내용은 ‘피부...

김태영 2025-10-17 126

[POSTECH 기계공학과 – 항공우주분야 학생들과의 교류 및 특강 진행]   2025년 10월 15일(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의 고정환 박사가 POSTECH 기계공학과를 방문하여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이번 초청 세미나는 인문사회학부 지성 아카데미에서 주관하였으며, 기계공학과 김진태 교수가 사회 및 진행을 하였다. 세미나에 앞 서 POSTECH 항공우주동아리(PSI) 학생들의 로켓 연소 실험을 직접 참관하며 학생들과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고 박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75톤급 국산 엔진 개발을 비롯한 누리호(KSLV-II)...

김태영 2025-10-15 79

[플라즈마 기반 원자층 정밀 공정 기술로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유전막 기술 개발]      최근 기계공학과·반도체대학원 안지환 교수 연구팀과 UNIST 반도체소재부품대학원 김병조 교수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높일 새로운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스마트폰, 노트북, 슈퍼컴퓨터까지 모든 전자기기에는 데이터를 잠시 저장하는 작은 공간이 필요하다. DRAM*1과 같은 메모리 반도체 소자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반도체 소자가 점점 작아지고 더욱 얇은 막으로 제작되다 보니 전기가 새거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DRAM 속 커패시터라는 작은 부품은 데이터를 담는 전기 그릇과 같다. 이 그릇...

김태영 2025-09-26 122

[POSTECH·가톨릭대·성균관대 연구진, 갑상선암 진단 광초음파 영상 시스템 개발]                                                                                          [사진] 김철홍 교수 ...

김태영 2025-09-22 118

[POSTECH·에스포항병원, AI로 초음파 화질 혁신, ‘MICCAI 2025’ 상위 9% 논문 선정]                                                                                         &nbs...

김태영 2025-09-09 182

[POSTECH 연구진, 금속 3D 프린팅으로 소형 위성용 초정밀 추력기 개발 성공]      최근 친환경소재대학원·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 기계공학과 김동식·이안나 교수 연구팀이 금속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우주 탐사용 고정밀 마이크로추력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엔지니어링 분야 국제 학술지인 ‘Virtual and Physical Prototyping’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최근 우주에 점점 더 많은 소형 위성이 올라가고 있다. 이들은 지구의 날씨를 관측하고, 전 세계 통신을 연결하며, 기후 변화를 감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주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