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전북대, 단일 입자 구조에서 연속체 속 속박 상태(BIC)의 비밀을 풀다] [노준석교수] &n...
[POSTECH·전북대, 단일 입자 구조에서 연속체 속 속박 상태(BIC)의 비밀을 풀다] [노준석교수] &n...
[POSTECH 노준석 교수팀, 반도체 검사 혁신할 ‘다기능 메타렌즈 ’개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주훈 씨 연구팀이 반도체 산업에서 검사 장비의 혁신을 가져올 ‘마법의 렌즈’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최근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게재됐다. 반도체 제조의 핵심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은 미세한 결함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외선부터 가시광까지 다양한 파장의 빛을 사용하는데, 빛의 파장마다 다른 렌즈가 필요하기 때문...
[의생명공학 분야 상위 2% 해당... ‘광음향 영상 기술 연구’로 의생명공학 분야 국제적 위상 높여]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가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 의생명공학원(이하 AIMBE, American Institute for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의 2025년도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정됐다. AIMBE 석학회원은 전 세계 의학 및 생명공학 분야 상위 2% 이내 연구자에게만 수여되는 영예로, 노벨상 수상자와 미국 국립공학아카데미 회원 등이 포함되어 있어 그 권위가 더욱 ...
[POSTECH 연구팀, 초박형 메타렌즈 어레이로 공중 디스플레이 구현] 최근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주훈 씨 연구팀은 ‘메타렌즈 어레이(array)’를 활용해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기존 공정의 한계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즈(Laser & Photonics Reviews)'에 게재됐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현대 전자기기는 계속해서 얇고 가벼워지는 추세지만, 기존 광학 렌즈의 크기와 무게가 이러한 발전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미터 규...
[POSTECH · 美 잭슨랩, 위암 환자 약물 반응성 평가 및 예측하는 체외 플랫폼 개발] [장진아 교수] [윤고은 대학원생_통합과정]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미국 잭슨랩 유전체의학연구소(The Jackson Laboratory for Genomic Medic...
[POSTECH 노준석 교수팀, 간단한 ‘테이프’ 기술로 메타표면 상용화 앞당길 방법 찾아]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유진 씨 연구팀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인 메타표면 상용화를 앞당길 신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속표지(Inside front cover) 논문으로 현지시간으로 13일 게재됐다. 메타표면은 나노미터(머리카락 두께 약 10만분의 1) 규모의 인공 구조체를 이용해 빛을 자유롭게...
[POSTECH, 췌장 기능 재현한 혁신적 플랫폼으로 당뇨병 치료의 판도를 바꾼다] [장진아 교수] [김명지 대학원생_통합과정] 기계공학과·생명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
[POSTECH, 혁신적 광음향 기술로 뇌졸중 초기 혈관 변화 관찰 성공] 매년 수백만 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한다. 뇌혈관이 막히는 순간부터 시작되는 시간과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 POSTECH 연구팀이 빛과 소리를 결합한 첨단 기술로 새로운 돌파구를 열었다.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이다. 특히 허혈성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데, 치료가 늦어지면 뇌 조직 손상이 가속화되어 회복이 거의 불가능해진다. CT나 MRI 같은 기존 기술들은 초기 혈관 변화를 실시간으로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동물 모델 연구는 관찰 범위와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OSTECH ...
[제31회 휴먼테크논문대상 기계공학부분 은상 수상]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은 1994년부터 삼성전자가 과학기술 발전과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마련한 대회로, 논문의 창의성, 논리성, 발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 논문을 선정한다. 올해 대회에서는 대학 부문에서 총 2,750편의 초록이 접수되어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기계공학과 이용석대학원생(지도교수: 김기훈) 은 "Goal-Driven Robotic Pushing Manipulation Under Uncertain Object Properties" (불확실한 물체 속성에서의 목표 지향적 로봇 밀기 조작) 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기계공학분과에서 은상을 ...
[POSTECH 노준석교수팀-삼성전자-RIST,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를 더욱 크고 선명하게 무색수차 메타렌즈 개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의 노준석 교수 연구팀(통합과정 최민석, 김주훈 연구원)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증강 현실(AR) 및 가상 현실(VR) 근안 디스플레이용 아크로마틱(무색수차) 메타렌즈를 개발했다. VR/AR 시스템의 부피와 무게는 광학 시스템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렌즈를 포함한 광학 부품의 혁신이 필수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미터 크기의 구조체를 활용해 빛을 조절하는 메타표면(metasurface)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기존 ...
[KRoC 2025 RED Show 일반 부분 우수상 수상] [POSTECH 기계과 김기훈교수팀] 지난 2/12일부터 15일까지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0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KRoC 2025)'가 사상 최대인 1844명의 참가자가 등록한 가운데 15일 4일간의 행사를 성공적으로 종료했다.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 중 레드쇼(RED:Robot Engineering & Design Show) 는 실세계의 문제를 공학적으로, 디자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창작한 로봇 및 디자인 작품등을 시연함으로써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 공유, 홍보하기 위한 행사로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한국로봇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
2024 UGRP 시상식 행사 [기계공학과 학부생 최우상, 우수상, 장려상 All Kill ] 동료간 협업을 통한 융합연구 장려를 위해 교육혁신센터에서 주관하고 있는 그룹단위 중심의 2024학년도 학부생 연구프로그램(UGRP; Undergraduate Group Research Program)과 관련해서 최종 결과물 시상식을 지난 2025년 2월 13일 체인지업 그라운드 2F 미디어홀에진행되었다. UGRP 시상식에는 김성근총장님을 비롯한 산학처장님, 연구처장님과 우수과제별 대표 수상자 40여명이 참석하였다. 총 수상은 19팀으로, &...
[POSTECH·전북대·서울대, 진동 필터링과 충격 완화 가능케 하는 폭넓은 주파수 밴드갭 구현] POSTECH·전북대·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제품과 건물 등의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탄성 메타물질(elastic metamaterials) 개발에 성공했다. 이 메타물질은 복잡한 기계 장치 없이도 단순한 3D 구조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가 울퉁불퉁한 도로를 달릴 때나 스마트폰을 바닥에 떨어뜨릴 때 충격이 발생한다. 자동차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항공기와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충격과 진동은 내구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줄이기 위해 높은 비용을 부담하면서 별도의 감쇠 ...
[POSTECH 기계 학부 박건태, 동교인재상 대상 수상] 기계과 박건태 학생이 동교인재상을 수상하였다. 박건태 학생은 전국의 대학생으로 한 공적 심사 결과, 대학 재학 중에 이룩한 탁월한 업적으로 타의 모범이 되고 대학의 명예 선양과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지대하였기에 동교인재상을 수상하였다. 동교인재상은 수림재단의 설립자인 김희수 전 이사장의 교육...
[POSTECH 교육혁신센터 미래형 교수-학습 모델 개발 우수 사례 선정] [ 김진태교수 - 로켓공학 교과목 선정] 2025년 1월 23일 교육혁신센터에서 주관하는 미래형 교수-학습 모델 개발 최종 성과 공유회 & 학생중심의 교수-학습 모델 우수사례 시상식 이 진행되었다. 이번 교수-학습 모델 우수 사례 중 기계공학과 김진태교수[교과목 : 로켓공학) 의 수업이 선정되는 기쁨을 누렸다. 2023년 부임하여 항공우주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꿈을 실현시키고자, 로켓공학 수업을 개설하여 미래 과학자들에게 유익한 학습모델을 제시 하는 사례가 되었고, 그에 따른 우주항공동아리도 신설되어 학부생들이 직접 로켓을 제작하여 고흥 발사장에서 발사하는 기회도 제공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