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과소식

 
김태영 2022-11-29 218

[제7회 KSME-SEMES오픈  이노베이션 첼린지  젊은공학자부분 금상 수상]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박상준, 방기문, 박준영(통합과정) 학생 (지도교수:진현규) 이 대한기계학회(창립연도: 1945년)와 세메스(국내 1위, 세계 7위 반도체 장비회사)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 7회 KSME-SEMES오픈 이노베이션 첼린지'에서 젊은과학자부분 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http://ksoic.ksme.or.kr/inc/sub00.asp) 올해로 7회째를 맞은 'KSME-SEMES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는 미래기술사회의 혁신을 선도할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면서 산학연구 연계를 도모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되...

김태영 2022-11-29 204

[KAI, 2022년 항공우주논문상 우수상 수상] 국내 항공우주 부문의 최고 권위상인 ‘2022년 항공우주논문상’ 시상식이 24일 서울 LW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됐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항공우주학회가 후원하는 항공우주논문상은 젊은 항공우주 인재를 발굴하는 등용문으로 꼽힌다. 2003년부터 개최된 항공우주논문상은 올해로 20회째를 맞았다. 지난 20년 동안 항공우주분야 연구 활성화와 인재 양성에 큰 역할을 해오고 있다고 KAI는 설명했다. 2022년 항공우주논문상은 정책·경영, 기계·엔진, 재료·소재, 전자·전기 등 항공우주 전 분야에 걸쳐 논문을 접수했으며 항공우주학회의 엄격...

김태영 2022-11-25 336

폐타이어를 재활용해 카본블랙 소재를 만드는 '엘디카본'이 올해 최고의 스타트업으로 선정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한 '도전! K-스타트업 2022' 왕중왕전에서 대상 엘디카본을 비롯한 최종 수상자 20팀을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도전! K-스타트업 2022'는 중기부를 비롯해 11개 정부부처가 협업해 운영하는 국내 최대 규모 창업경진대회다. 각 부처가 소관 분야별 예선리그를 운영했고, 각 예선리그를 통과한 우수팀을 대상으로 중기부가 통합본선과 왕중왕전을 주관해 최종 수상팀을 선정했다. <이영 중기부 장관이 도전 K-스타트업 왕중왕전 수상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김태영 2022-11-08 205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우수성과 공모전 대상 수상     포스텍 이승철 교수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개최한 '2022 ICT R&D 주간행사'에서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사업 우수성과 공모전' 부문 대상을 받았다. 이승철 교수팀이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민상기 교수님팀과 함께 인공지능을 제조 분야에 적용한 ‘IIOT와 인공지능 기반의 지속 가능한 스마트 제조 모델 구축’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대상에 선정되었다.

김태영 2022-11-08 195

2022 기계의 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포스텍 이승철 교수가 2022 기계의 날 기념행사에서 산업통산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고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등 6개 기관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2 기계의 날' 기념행사가 11월 2일 열렸다. 기계의 날은 2002년 산학연 공동으로 기계산업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기계 산업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제정됐다. 이승철 교수는 인공지능을 기계 분야에 적용하여 기계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통산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김태영 2022-11-03 259

[노준석 교수팀, 단일 구조체에 세 가지 정보 담는 메타 디스플레이 개발…편광 따라 다른 이미지 보여줘] [공정 단순화·초소형 크기 장점…차세대 보안 장치·맞춤형 VR 디스플레이 실현 기대감 ‘쑥’] 캠퍼스 곳곳이 메타버스로 탈바꿈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후 POSTECH은 비대면 상태로도 현실과 같은 수준의 실험과 실습을 진행할 수 있는 메타버스 강의 환경을 구축했다. 가상현실(VR)기기를 착용하기만 하면 실험 환경뿐만 아니라, 먼 곳의 원자력발전소도 생생하게 볼 수 있다. 나아가, 교수와 학생이 각기 다른 화면으로 맞춤형 수업을 경험할 수 있다면?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김태영 2022-10-28 384

시사저널의 창간 기획 ‘차세대 리더 100’은 국내 언론 사상 최장기 기획인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의 미래 버전이다. 창간 33주년을 맞아 시사저널이 내놓는 ‘2022 차세대 리더 100’의 선정 과정은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 경제(기업·IT·스타트업), 사회(법조·환경·NGO·종교·의학·과학·크리에이터), 문화(예술·영화·방송연예·스포츠·레저) 각 분야에서 내일의 대한민국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기대되는 인물 100명을 추렸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칸타퍼블릭&rsq...

김태영 2022-10-26 159

[김철홍·노준석 교수팀, 근접장으로 얻은 광음향 신호 영상화 최초 성공] [“렌즈 대신 광섬유 적용…초고해상도 광음향 현미경 개발의 새 지평 열어”]   현미경 덕분에 우리는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세계를 탐험할 수 있다. 특히나 최근, 빛이 흡수될 때 생기는 진동을 이용해 세포나 혈관을 촬영하는 광음향 현미경이 개발되며 조영제 없이도 몸속을 속속 들여다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다만 현미경의 렌즈로는 빛을 작은 크기로 한 점에 모으기 어려워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POSTECH 연구팀은 렌즈 대신 ‘빛나는 섬유’를 현미경에 적용, 초고해상도 광음향 현미경 개발 가능성의 새 ...

김태영 2022-10-21 196

[연구팀, 전 영역 동시에 인식하는 고정형 라이다 센서 개발] 빛을 쏴서 물체를 인식하는 라이다(LiDAR) 센서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주변 물체와의 거리를 파악하고 주행 속도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눈’ 역할을 한다. 예측 불가능한 도로 상황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정면뿐만 아니라 옆이나 뒤를 함께 살펴야 하는데, 현재는 회전하는 라이다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후방을 동시에 파악할 수는 없었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경태·김예슬·윤주영 씨, 성균관대 생명물리학과 김인기 교수 연구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360° 전 영역을 볼 수 있는 고정형 라이다 센서를 개발...

김태영 2022-10-19 290

2022 기계공학과 달걀 떨어뜨리기 대회 및 로봇 체험 "공학 기술을 응용한 구조물안에 계란을 넣고 깨뜨리지 않게 해야 해요"   13일 오후 포스텍 공학5동 건물 앞에서 달걀 떨어뜨리기 행사가 진행 되었다. 학부 재학생들이 참여하는 '달걀 떨어뜨리기 대회' 는 빨대, 나무젓가락, 색종이, 실 등을 이용한 구조물안에 달걀을 넣고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 달걀이 깨지지 않게 하는 대회이다. 이번 대회는 총 30개팀이 출전하며, 출전 시 개인 및 팀(2인)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날 프로그램을 기획한 김동성교수는 '기계 공학이 어렵고 접근하기 힘든 과목이 아니라 창의적 생각과 직접 체험을 통해 친...

김태영 2022-09-27 287

 경암교육문화재단 공학부분 경암상 수상   경암교육문화재단은 26일 제18회 경암상 수상자를 확정해 발표했다. 부문별 수상자는 이종화 고려대 교수(인문사회), 김준성 포항공대 교수(자연과학), 김재범 서울대 교수(생명과학), 조동우 포항공 대 교수(공학)다. 재단에 따르면 조동우 교수는 인체 내의 손상된 조직과 장기의 재생을 위해 새로운 개념의 3D 조직·장기 프린팅 기술 연구를 주도해왔다. 그는 특히 인체 조직과 장기를 모사해 실제 조직으로 발전하기 직전 단계인 '3D 전조직체' 개념을 창안했다. 재단은 태양그룹 고 경암 송금조 회장이 사재를 출연해 설립한 공익재단으로 2004년부터 경암상을 제...

김태영 2022-09-08 285

[POSTECH·부산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이용해 혈관·림프관 포함된 인공 암 모델 개발]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로 암 모델 제작하면 맞춤형 치료 실현할 수 있어] 한산도대첩에서 이순신 장군은 일본군과 싸워 크게 승리를 거뒀다. 이는 주변의 지리적 환경을 파악하고 적군의 경로를 예측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결과다. 우리 몸의 ‘적’인 암도 전략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암의 미세환경뿐만 아니라, 주요 전이 경로인 혈관·림프관을 모사한 체외 암 모델을 이용해서다. 향후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로 암 모델을 제작하면 개인별 맞춤 암 치료를 실현할 수 있다.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김태영 2022-09-06 477

[디지털 조선일보인터뷰] 이승철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 이승철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포스텍 “산업계에서 인공지능(AI)을 도입하려는 경우가 많아요. 그에 앞서 지금의 통계 기반 AI 모델이 절대 완벽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이승철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는 5일 진행한 인터뷰에서 산업 현장에서의 AI 도입 활성화 방안에 대해 조언했다. ...

김태영 2022-09-06 454

기계 통합과정 이정락(지도교수: 이안나) 공모전 최우수상 <SK하이닉스 제2회 사회문제 해결 스타트업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SK하이닉스의 '사회문제 해결 스타트업 아이디어 공모전'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제품화 및 사업화를 지원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올해로 2회 차를 맞은 공모전에는 총 425개의 아이디어가 접수됐다. 그중 12개의 아이디어가 약 35.4:1의 경쟁률을 뚫고 발표 심사 무대에 올랐다. 발표 심사가 진행된 현장은 이른 아침부터 분주했다. 일찍부터 뒤편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참가자들이 눈에 띄었다. 4팀씩 3타임으로 나누어 진행되는 발표의 첫 번째 주자들이었다.&nb...

김태영 2022-08-23 474

[노준석·이안나 교수팀, 카이랄 구조 이용해 저주파 진동 줄이는 방법 개발] ‘위잉위잉’ 울리는 저주파 진동. 큰 소리가 나지 않아 쉽게 느끼지 못할 수도 있지만, 한 번 인지하면 그 괴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특히나 최근에는 층간소음과 같은 저주파 진동을 지속적으로 들으면서 정신적인 피해를 호소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정훈 씨, 기계공학과 이안나 교수 연구팀은 카이랄 구조를 이용해 이러한 저주파 진동을 ‘싹’ 잡아내는 방법을 개발했다. 거울상 대칭구조라고도 불리는 카이랄 구조는 왼손과 오른손처럼 거울로 보면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겹치지 않는 독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