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과소식

 
김태영 2024-11-29 197

[POSTECH · 고려대, 온도 변화에 따른 졸-겔 이산화 티타늄 결정 변화 이용해 고효율 메타렌즈 개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연구팀이 고려대 신소재공학과 이헌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고효율 메타렌즈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이산화 티타늄(TiO2) 소재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최근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게재됐다. 메타렌즈(metalens)는 나노미터(10-9m) 크기의 구조체로 빛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차세대 광학 소자로 통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메타렌즈를 제작하는 공정 중 하나인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

김태영 2024-11-29 247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공동 연구 체재 구축 협약식 ] 현대자동차·기아가 국내 최고 로봇 연구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로보틱스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발걸음을 내딛는다. 현대자동차 · 기아는 22일(화) 서울대학교와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과 함께 이동형 양팔로봇의 기술 경쟁력 강화와 로봇 연구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기아는 22일(화) 서울대학교와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과 함께 이동형 양팔로봇의 기술 경쟁력 강화와 로봇 연구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설립했다...

김태영 2024-11-25 312

[POSTECH - 두산에너빌리티 연구개발 협약식]   POSTECH 기계공학과 유동현교수와 두산에너빌리티 간 위탁연구를 통한 기술개발 협약식을 11월 21일(목)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되었다. 협약식에는 POSTECH 산학협력단장(김종규), 유동현교수, 이상승교수(인하대) 과 두산에너빌리티 송용진부사장, 장 세영상무 외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이번 연구개발 협약식은 기존 유동현교수와 두산에너빌리티 간 초기 연구개발을 토대로 좀더 향상된 연구개발 결과물을 제공 하기로 양 기관은 협의하였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긴시간동안 기계공학과 교수들과 연구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을 이뤄왔고, 이번 협약식 또한 유동현교수의 연 구 결과의 우수성을 한번더 확인하는 ...

김태영 2024-11-22 194

[노준석 교수팀, 유체 주입형 메타렌즈 통한 재구성 가능 지능형 표면 구현]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기전자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재경 씨 연구팀은 유체 주입형 메타렌즈를 이용해 광 신호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혁신적인 광 무선 통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최근 게재됐다. ‘재구성 가능한 지능현 표면’이란 외부의 자극에 따라 형태와 기능을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표면을 의미한다. 이 기술은 주로 라디오 주파수(RF)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데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광학 분야에서는 초...

김태영 2024-11-20 219

[2024 한국정밀공학회 추계학술대회 Best editor award 수상] (사) 한국정밀공학회는 1984년 설립하여 정밀공학 분야의 학술 연구와 기술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학술단체이자 공익법인입니다. 올해 40주년을 맞이 하였으며 약 4,000명의 회원과 24개의 특별회원사가 회원으로 소속되어 있습니다. 2024년 11월 13일(수) - 15일(금) 3일간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POSTECH 기계공학과 김동성교수와 안지환 교수는 BEST EDITOR AWARD 를 수상하였다. 그리고 산/학/연 소속 회원의 활발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춘·추계학술대회와 PRESM 국제학술대회를 매년 개최하고 ...

김태영 2024-11-12 302

[POSTECH · Georgia Tech · Northwestern 연구팀, 피부 밀착형 무선 햅틱 기술로 실시간 감각 피드백 제공, 시각 · 감각 제약 넘어서는 혁신적 경험 실현] 기계공학과 김진태 교수는 미국 조지아 공대(Georgia Tech) 매트 플라빈(Matt Flavin) 교수, 노스웨스턴대(Northwestern) 하경호 박사와 존 라저스(John A Rogers) 교수와 협업해 피부 밀착형 무선 햅틱(haptic)*1 기기를 개발, 환자 치료 및 다양한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이번 연구는 과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Nature(네이처)’에 최근 게재됐다. 사람의 피부에는 다양한 기계적 수용...

김태영 2024-11-07 227

[POSTECH · 고려대 연구팀, 복사냉각 원리 기반 차세대 투명 냉각 필름 개발]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고병수 동문 ·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노재범 씨 연구팀은 고려대 신소재공학과 이헌 교수, 통합과정 채동우 씨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방충망처럼 구멍이 뚫린 구조체를 사용해 태양열을 조절해 내부 온도를 낮추는 투명한 복사냉각 필름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물체는 태양빛을 받으면 일반적으로 온도가 올라가지만, 별도의 전력이 없어도 스스로 열을 방출...

김태영 2024-11-04 339

[기계공학과 91학번 윤관식동문 발전기금 기부식 행사]   POSTECH 기계공학과 91학번 윤관식(학사) 동문이 학과 발전기금(1억)을 기부했다.  2024년 10월 30일(수) 오전 11시 20분에  대학본관 3층 총장실에서 기계공학과 발전기금 전달식이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김성근총장, 유동현 기계과주임교수, 김기훈교수(기계과), 장수영팀장(기계과행정팀) 이 참석했다. 학과발전기금은 91학번 윤관식동문이 학과 연구분야(로봇)에 대한 다양한 활동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고, 이번 기부를 통해 "기계과 학생들이 교과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 경험을 통해 산업현장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

김태영 2024-11-04 360

한국 우주항공청 본부장 John Lee 방문 및 세미나 개최  올해 신설된 한국 우주항공청 내 임무본부장을 맡고 있는 Jonh Lee (전 NASA 근무) 의 방문이 10월 30일 (수) 있었다. 이번 방문은 기계공학과 김진태교수의 초청으로 성사가 되었으며, 기계과 내 항공우주동아리의 활동모습과 로켓 연소시험을 직접 참관하며 학생들의 궁금한 점을 질의응답하는 시간도 가졌다. 그리고 POSTECH 구성원들을 위한 특별세미나를 국제관 대회의실에서 진행되었다. 한국의 우주항공청의 역활과 향후 우주에 대한 연구계획, 항공우주에 대한 Q&A 시간도 가지면서 세미나가 성원속에 마무리 되었다. 그리고 이번 초청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기계공학과 김진태교수의 항공우주에 대한 연구 및 학부생 ...

김태영 2024-11-02 177

[POSTECH·KAIST·KIMM, 히알루론산 수분 감응형 결합에너지 이용한 메타표면 트랜스퍼 프린팅]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경태 씨, KAIST(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 고지우 박사, KIMM(한국기계연구원) 정준호 박사 공동 연구팀이 보습력이 우수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1으로 콘텍트렌즈 위에 메타표면을 트랜스퍼 프린팅(transfer printing)*2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최근 게재됐다. 메타표면은 나노미터(10-9m) 크기의 구...

김태영 2024-10-22 291

[친환경 실리콘 기반의 지속 가능한 방오/방빙/저마찰 솔루션 개발] 국제해사기구가 2023년부터 선박의 탄소 배출과 탄소 집약도를 줄이는 새로운 규제를 발표하면서, 조선해양분야에서는 새로운 친환경 도료 개발이 필수 불가결하게 되었다. 따개비 같은 해양생명체나 조류의 부착으로 인해 선박 표면의 마찰저항이 증가하여 연료소비가 최대 40%까지 늘어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방오 도료는 독성 방오제를 방출하는 방식인데, 독성 물질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 때문에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긴 사슬을 가진 자유 고분자가 얽힌 PDMS 수지에 저점도 오일을 함유(infusion)시킨 LEP (long-chain entangled PDMS) 젤 기술을 개발했다. 이 LEP 젤 코팅은 실리콘 기...

김태영 2024-10-22 210

[노준석 교수팀, 카이랄 구조 메타물질로 진동 제어하고 에너지 수확하는 소자 개발”]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정훈 · 이건 씨 연구팀은 모든 방향의 탄성파를 제어하여 진동을 줄이고, 이와 동시에 고성능의 파동 에너지를 수확하는 혁신적인 메타물질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재료과학 및 응용 물리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탄성파는 물체가 진동하거나 충격을 받을 때 발생하는 파동으로 사람들이 매일 겪는 진동의 에너지다. 우리가 느끼는 소리나 지진도 탄성파의 일종이다. 이러한 파동...

김태영 2024-10-17 171

[김철홍 교수팀, 의료 영상의 미래를 변화시킬 핵심 기술 광음향 영상 리뷰 논문 보고] 전자전기공학과 · IT융합공학과 · 기계공학과 · 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 박정우 박사후연구원(現 경북대 의생명융합공학과 교수), 인공지능연구원 최성욱 박사후연구원(現 미국 스탠포드대 박사) 연구팀이 최근 독일 에를랑겐대 병원(University Hospital Erlangen) 페르디난드 크닐링(Ferdinand Knieling) 교수, 영국 캠브리지대 사라 본디크(Sarah Bohndiek) 교수, 미국 칼텍 리홍 왕(Lihong V. Wang) 교수팀과 함께 광음향 영상(Photoacoustic Imaging) 기술의 원리부터 실제 임상 적용사례 및 과제를 총...

김태영 2024-10-10 187

[노준석 교수팀, 자외선-가시광선에서 스핀·파장 다중화 가능한 메타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성준화 씨 연구팀은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아우르는 영역에서 빛의 회전 방향과 색깔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과 응용 물리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 보호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특히 금융 거래나 데이터 전송 시 안전한 보안 기술과 위조 방지 능력이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해 빛을 나노 스케일로 제어...

김태영 2024-10-10 171

[POSTECH · 충남대 · KAIST, 나노 규모의 금 구조물 이용해 스핀파 전달 효율 향상 성공]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 박상준 박사(現 일본 물질재료연구기구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충남대 신소재공학과 정종율 교수 연구팀, KAIST(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김세권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전자기기 발열 문제를 해결할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스핀파(spin wave)*1 활용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셀(Cell)’ 자매지인 ‘매터(Matter)’ 온라인판에 지난 9월 26일 게재됐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