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학과소식

 
김태영 2022-03-30 483

[초고속 광학 습도센서를 개발] 왼쪽부터 포스텍(포항공과대)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화학공학과 통합과정 정충환·장재혁 씨,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명준) 홍성훈 책임연구원·김수정 박사. ETRI·GIST와 공동연구…다양한 코드로 전자장치·여권 등 보안태그 활용 남미에 사는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는 습도에 따라서 색깔이 변하는 신기한 특징이 있다. 이는 장수풍뎅이의 껍질 내부가 사각형 구멍이 이어진 다공성 격자 구조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특정 파장의 빛을 받으면 이를 반사하는데, 습도에 따라 빛의 파장이 달라져 각기 다른 색이 나타난다. 이러한 장수풍뎅이와 같이 ...

김태영 2022-03-30 389

[이승철교수 대한기계학회 신뢰학술상 수상]   포스텍 이승철 교수가 대한기계학회 신뢰성부문 2022년 춘계학술대회에서 ‘신뢰학술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신뢰학술상’은 신뢰성공학 및 실험역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으로 학문 발전에 기여한 자를 선정하여 포상하기 위해 2007년에 제정되었다. 이승철 교수는 기계시스템을 분석/진단 및 제어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교육을 인정받아 올해의 신뢰학술상에 선정되었다.

김태영 2022-03-25 577

[전기력 기반의 리튬·마그네슘 이온 분리 방법을 개발]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 임근배 교수·박사과정 이민수 씨·권혁진 박사 연구팀은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 원장 남수희) 정우철 박사와 공동으로 필터나 추출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전기력 기반의 리튬·마그네슘 이온 분리 방법을 개발,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재료화학 A저널’ 뒷표지 논문으로 발표했다. 소금호수에서 리튬을 추출할 때, 마그네슘은 증발 공정에서 리튬과 화합물을 형성하고, 화학적 침전 공정에서는 리튬과 함께 침전되며 두 번에 걸쳐 손실을 유발한다. 자연히 소금호수의 마그네슘 함량이 늘어날수록 손실과 생산비용은 ...

김태영 2022-03-25 300

[광음향·초음파 결합한 족부 영상기술 개발]   포스텍(총장 김무환)은 IT융합·전자전기·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와 IT융합공학과 최원석 연구조교수 연구팀이 광음향·초음파 영상을 결합한 족부 영상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존에는 말초혈관질환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손목과 발목, 또는 발가락의 혈압을 재고 비율을 계산하는 발목상완지수(Ankle-brachial Index) 측정 방식이 사용됐다. 영상 검사로는 혈류를 측정하는 도플러 초음파검사(Doppler Ultrasonography)와 CT(컴퓨터 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를 이용한 혈관 조영술 검사가 쓰였다.   이런 방식은 큰 동맥의...

김태영 2022-03-25 333

[세포외기질에 나노 섬유를 더해 신축성 있는 세포외기질 박막을 개발]   신약개발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동물실험을 대체할 약물 평가용 인공장기 개발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텍(포항공대)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통합과정 윤재승 씨·홍현준 박사 연구팀은 텍사스주립대학교 김현중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튼튼하고 잘 늘어나는 세포외기질 하이드로겔 박막을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지 '바이오패브리케이션'에 최근 실었다. 세포 밖에 존재하는 세포외기질은 세포와 조직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며 세포를 보호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때문에 인공조직이나 장기를 만들 때도 그 속의 세포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세포외기질...

김태영 2022-03-25 250

[포스텍 김기현 교수팀, 안구건조증 환자 위한 비침습 고속 영상장비 개발]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 김기현 교수·박사과정 이중빈 씨·통합과정 김성한 씨 연구팀은 경북대학교 안과 김홍균·손병재 교수, 서울대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와 함께 안구건조증 환자에서 결막 술잔세포 이상을 검사하기 위한 비침습 고속 영상장비를 개발했다고 보고했다. 술잔세포 검사의 편의성과 속도를 한층 높인 이 연구성과는 의료영상 분야 국제 학술지 ‘전기전자기술자협회 트랜잭션 온 메디컬 이미징(IEEE Transactions on Medical Imaging)’에 최근 게재됐다. 앞서 연구팀은 지난 2019년에 안과 항생제인 ...

김태영 2022-03-18 358

[노준석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젊은공학인상 수상]                  젊은공학인상 수상자인 노준석 교수는 세계최초로 100나노미터(nm·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급 3차원(3D) 금속 프링팅 기술을 통해 가시광선용 3D 카이랄 메타물질 나노구조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카이랄성은 왼손과 오른손처럼 구조와 모양이 똑같이 생겼지만 마치 거울에 비친 듯이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어 서로 겹쳐질 수 없는 분자구조를 말한다. 노 교수는 또 나노 사이즈 카이랄 입자 합성을 통한 광특성과 컬러 구현을 통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등 국내 메타물질 분야의 위상을 높...

김태영 2022-03-04 464

[노준석 교수팀, 자외선·가시광선 동시 작동하는 메타표면 위변조 방지 장치 개발]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과 안 보이는 ‘자외선’, 두 가지 빛으로 이중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위변조 방지 기술이 연구팀을 통해 개발됐다. 이 기술은 빛의 성질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의 활용이 기대되는 ‘메타표면’을 이용한 것으로, 지금까지 자외선 영역에 작동하기 어려웠던 메타표면의 난제를 풀어내 더욱 의미가 있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주훈 씨 연구팀은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암호화 디바이스 시스템을 개발해 미국화학회 국제학술지 &lsqu...

김태영 2022-02-23 429

-POSTECH·전남대 공동연구팀, 엑스레이 유도 초음파 단층촬영기법 ‘XACT’ 개발 -“선량 실시간 확인 가능…인체 영향 최소화 기대” 대표적 암 치료법인 방사선치료는 엑스레이(X-ray)나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이뤄진다. 다만 선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3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선 수 차례 촬영을 해야 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엑스레이를 한 번만 쏴도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IT융합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 IT융합공학과 통합과정 최성욱 씨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화순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이창호 교수 공동연구팀은 엑스레이 유도 초음파 단층 촬...

김태영 2022-02-17 529

[삼성전자 제28회 휴먼테크논문대상 은상수상] 올해 POSTECH 수상자는 은상 3팀 4명, 동상 2팀 3명으로, 기계공학과·신소재공학과·인공지능대학원·화학공학과에서 총 5팀 7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은상을 수상한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상준 씨(지도교수 진현규 교수)는 ‘매그논-포논 열교환 제어를 통한 고효율 스핀 열전 디바이스 설계(Designing an efficient spin thermoelectric device via engineering magnon–phonon thermal coupling)’라는 논문을 발표해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인공지능대학원 석사과정 박충현 씨(지도교수 박재식 교수)·...

김태영 2022-02-15 371

[2022 국제광공학회 학술대회서 최우수 논문상 수상]   IT융합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 김형함 교수 연구팀이 국제광공학회(SPIE) 최우수 논문상(Photoacoustics Journal Elsevier 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두 김 교수를 포함, △IT융합공학과 김진영 교수 △IT융합공학과 통합과정 안중호·백진우 씨·시스템생명공학부 김효진 석사(지도교수 김철홍) △IT융합공학과 통합과정 김영건 씨(지도교수 김형함) 등으로 구성된 POSTECH 연구팀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국제광공학회 콘퍼런스(SPIE, Photonics West) ‘광초음파(Photons ...

김태영 2022-02-11 500

[은 나노와이어를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패터닝 하는 무용매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개발]     [김준원교수]                                     [유동우 통합과정]   포스텍(총장 김무환)은 김준원 기계공학과 교수와 통합과정 유동우 씨 연구팀이 자외선 경화형 필름을 이용해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스티커와 같이 끈적거리던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굳게 되는데, 이 원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은 나노와이어를 원하는...

김태영 2022-02-09 553

[투명망토 등 상상속 물건 연구, `메타물질` 분야 최고 권위자] [사진] 노준석 교수 '연봉 300만달러(약 35억원), 원하는 근무환경 제공, 필요한 인력 함께 채용.' 모두가 가고 싶어하는 '꿈의 직장' 구글에서 이 같은 제안이 들어왔을 때 거절할 '배포'가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실제 이 제안을 물리치고 포항의 실험실에 남기를 고집한 이가 있다. 노준석 포스텍 기계공학·화학공학과 교수(41)얘기다. 상상만 해도 즐거운 제안을 거절한 노 교수는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연구로 주목받는 젊은 과학자다. 노 교수가 연구하는 분야는 '메타 물질'이다. 메타 물질은 자연계에서는 발견될 수 없는, 전혀 새로운 특성...

김태영 2022-01-24 784

  [인체조직 대량생산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개발]   포스텍 연구진이 몸 밖에서 인체의 미세조직을 ‘한 번에’ 만들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포스텍(총장 김무환)은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예진 석사·강병민 석사과정 연구팀이 미세조직을 별도의 처리 과정 없이 생산할 수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기술은 가시광선을 쬐면 빠르게 굳는 광활성 탈세포화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를 이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가시광선을 활용해 미세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외기질을 빠르게 굳혀 제작 과정을 단축한 것으로, 만들어진 미세조직은 각각 ...

김태영 2022-01-24 637

[노준석교수 포스텍 석좌교수 선정] 포항공대(포스텍)는 연구 활성화 및 연구 수준 향상을 위해 탁월한 성과를 이룬 교수 13명을 석좌교수로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남고석좌교수에 전자전기공학과 박부견 교수, 동국석좌교수에 인문사회학부 송호근 교수, 세아석좌교수에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 연산석좌교수에 생명과학과 이지오 교수가 각각 뽑혔다. 또 무은재석좌교수에는 화학과 김성지 교수, 신소재공학과 김용태 교수, 산업경영공학과 송민석 교수, 환경공학과 민승기 교수 등 4명이 이름을 올렸다. 화학공학과 김동표 교수는 남고석좌교수,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는 연산석좌교수, 기계공학과 노준석 교수와 컴퓨터공학과 안희갑 교수는 무은재석좌교수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