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 연구팀, 단일층 웨이브가이드로 두께·무게 동시 해결] [노준석교수] [김석우 통합과정] [김주훈 통합과정] 교육부터 의료, 게임, 엔터테인먼트까지...
[POSTECH 연구팀, 단일층 웨이브가이드로 두께·무게 동시 해결] [노준석교수] [김석우 통합과정] [김주훈 통합과정] 교육부터 의료, 게임, 엔터테인먼트까지...
[POSTECH 박성민 교수 연구팀, 가상의 뇌 이용해 혈압을 정밀 조절한다]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박성민 교수, 이지호 박사(現 삼성리서치) 연구팀이 뇌의 심혈관 조절 원리를 재현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만들어 고혈압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를 찾아냈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대상을 가상 환경에서 재현하는 기술로, 이 연구는 네이처(Nature) 파트너 저널인 ‘npj 디지털 메디슨(npj Digital Medicine)’에 지난달 23일 게재됐다. 고혈압은 ‘조용한 살인자’로 불린다. 뚜렷한 증상은 없지만 심장병과 뇌졸중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장진아교수 무은재석좌교수 추천] [사진 : 장진아교수] 지난 4월 석좌교수추천위원회에서 기계/생명/IT융합/융합 장진아 교수를 무은재석좌교수로 추천하였다. 장진아교수는 3D 바이오프린팅 기반 조직 및 장기 제작 기술 고도화, 줄기세포공학 및 바이오소재 융합을 통한 재생의학 응용 및 상용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매우 도전적이고 파급력이 높은 연구 분야에서 왕성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음. 임용 이후 약 ...
[병원 방역 자동화 가능한 지능형 자율방역로봇 개발] 포스텍(POSTECH)은 김기훈 기계공학과 교수, 박사과정 변재원 씨 연구팀이 병원 내 방역을 자동화할 수 있는 지능형 자율 방역 로봇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로봇은 병원 내부를 스스로 이동하며 표면을 직접 닦고, 자외선을 이용한 소독까지 수행할 수 있다. 연구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오상록 연구단장, 정진우 팀장), 한국로봇융합연구원(정구봉 부원장, 최영호 연구팀), 엘포톤(대표 박은현, 김경민 연구팀), 포항성모병원(강재명·김은정 감염관리팀) 연구진이 함께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병원 환경에서 철저한 소독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그러나 현재 병원 방역은 인력 부족, 소독 작업자들의 피로 누적, 병원균 노...
[장진아 교수 국무총리표창, 주태하·이병훈 교수 장관표창… 첨단 연구 성과 국가적 인정] [사진_장진아교수] 수학과 박지훈 교수와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가 21일 개최된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포장’과 ‘국무총리표창’을 받았다. 박지훈 교수는 대수기하학 분야의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며 한국 대수기하학의 학문적 지평을 넓히고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진흥 유공’ 부문에서 과학기술포장을 ...
[POSTECH·연세대·서울대병원 연구팀, 형광 표지 없이 눈 표면 세포 관찰하는 현미경 기술 개발] 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기현 교수 연구팀이 연세대 기계공학과 주철민 교수 연구팀, 서울대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눈 건강에 핵심적인 세포를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안과 분야 국제 학술지 The Ocular Surface 최신호에 게재됐다. 눈의 건조를 방지하려면 눈물막이 고르게 분포되어야 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세포가 ‘결막 술잔세포(Conjunctival Goblet Cell)’다. 이 세포는 눈물막의 주요 성분인 점액(...
[POSTECH·전북대, 단일 입자 구조에서 연속체 속 속박 상태(BIC)의 비밀을 풀다] [노준석교수] &n...
[POSTECH 노준석 교수팀, 반도체 검사 혁신할 ‘다기능 메타렌즈 ’개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주훈 씨 연구팀이 반도체 산업에서 검사 장비의 혁신을 가져올 ‘마법의 렌즈’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최근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게재됐다. 반도체 제조의 핵심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은 미세한 결함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외선부터 가시광까지 다양한 파장의 빛을 사용하는데, 빛의 파장마다 다른 렌즈가 필요하기 때문...
[의생명공학 분야 상위 2% 해당... ‘광음향 영상 기술 연구’로 의생명공학 분야 국제적 위상 높여]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가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 의생명공학원(이하 AIMBE, American Institute for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의 2025년도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정됐다. AIMBE 석학회원은 전 세계 의학 및 생명공학 분야 상위 2% 이내 연구자에게만 수여되는 영예로, 노벨상 수상자와 미국 국립공학아카데미 회원 등이 포함되어 있어 그 권위가 더욱 ...
[POSTECH 연구팀, 초박형 메타렌즈 어레이로 공중 디스플레이 구현] 최근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주훈 씨 연구팀은 ‘메타렌즈 어레이(array)’를 활용해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기존 공정의 한계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즈(Laser & Photonics Reviews)'에 게재됐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현대 전자기기는 계속해서 얇고 가벼워지는 추세지만, 기존 광학 렌즈의 크기와 무게가 이러한 발전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미터 규...
[POSTECH · 美 잭슨랩, 위암 환자 약물 반응성 평가 및 예측하는 체외 플랫폼 개발] [장진아 교수] [윤고은 대학원생_통합과정]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미국 잭슨랩 유전체의학연구소(The Jackson Laboratory for Genomic Medic...
[POSTECH 노준석 교수팀, 간단한 ‘테이프’ 기술로 메타표면 상용화 앞당길 방법 찾아]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유진 씨 연구팀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인 메타표면 상용화를 앞당길 신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속표지(Inside front cover) 논문으로 현지시간으로 13일 게재됐다. 메타표면은 나노미터(머리카락 두께 약 10만분의 1) 규모의 인공 구조체를 이용해 빛을 자유롭게...
[POSTECH, 췌장 기능 재현한 혁신적 플랫폼으로 당뇨병 치료의 판도를 바꾼다] [장진아 교수] [김명지 대학원생_통합과정] 기계공학과·생명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
[POSTECH, 혁신적 광음향 기술로 뇌졸중 초기 혈관 변화 관찰 성공] 매년 수백만 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한다. 뇌혈관이 막히는 순간부터 시작되는 시간과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 POSTECH 연구팀이 빛과 소리를 결합한 첨단 기술로 새로운 돌파구를 열었다.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이다. 특히 허혈성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데, 치료가 늦어지면 뇌 조직 손상이 가속화되어 회복이 거의 불가능해진다. CT나 MRI 같은 기존 기술들은 초기 혈관 변화를 실시간으로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동물 모델 연구는 관찰 범위와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OSTECH ...
[제31회 휴먼테크논문대상 기계공학부분 은상 수상]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은 1994년부터 삼성전자가 과학기술 발전과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마련한 대회로, 논문의 창의성, 논리성, 발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 논문을 선정한다. 올해 대회에서는 대학 부문에서 총 2,750편의 초록이 접수되어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기계공학과 이용석대학원생(지도교수: 김기훈) 은 "Goal-Driven Robotic Pushing Manipulation Under Uncertain Object Properties" (불확실한 물체 속성에서의 목표 지향적 로봇 밀기 조작) 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기계공학분과에서 은상을 ...